[종목 Ep.23] 제이브이엠ㅣ약품 자동화 국내 1위 .. 꾸준한 실적 돋보인다

2021. 8. 20. 08:00투자매거진/종목

제이브이엠(054950) 약품 자동화 1위, 꾸준한 성장 돋보인다


약품 관리/분류 자동화 시스템 국내 1위 업체

 

제이브이엠은 한미약품 그룹의 병원/약국 자동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업체로 약국 자동화 분야 국내 시장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다. '21년 반기 기준 매출비중은 조제/관리시스템 42%(214억 원), 주요 소모품 외 45.4%(231억 원), 기타 12.6%(64억 원)다. 최대주주는 한미사이언스(지분 39%, 2Q21 반기보고서 기준)다.

 

제이브이엠의 INTIPharm(인티팜)약품 관리 자동화 시스템으로 처방 후 약제부에서 조제, 감사된 의약품을 관리, 보관하고 처방에 의해 약품을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전산 연동을 통해 병원 업무 효율화를 높인다. 인티팜은 북미에 2조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빠르게 도입되고 있어 시장 성장성이 높은 편이다.

 

ATDPS는 파우치(POUCH) 포장방식의 전자동 정제 분류 및 포장 시스템으로 전 세계적으로 제이브이엠을 포함한 4개의 메이저 회사가 경쟁하고 있다. 3곳은 일본, 1곳은 한국이다. 제품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다.

 

* 약국 조제/관리 자동화 시스템이란?

더보기

약국 조제/관리 자동화 시스템

 

약국 경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통합 솔루션으로 전문 의약품들을 정확, 안전, 빠르게 분류, 분배, 보관,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크게 약품 조제 자동화 시스템약품 관리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ATDPS(Automatic Tablet Dispensing & Packaging System : 전자동 정제 분류 및 포장시스템 / 사진: 제이브이엠

 

약품 관리 자동화시스템 '인티팜(INTIPharm)' 기능
인티팜 도입효과

 

국내 영업은 한미사이언스 자회사 온라인팜(주)를 통한 병원 및 약국 영업, 북미(해외) 영업은 한미약품(주)을 통한 독점 및 비독점 대리점 체제, 중국(해외)은 시노팜을 통한 독점적 대리점 체제 영업을 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의약분업 실시로 80% 이상의 병원조제가 일반 조제약국으로 나오면서 제이브이엠 제품에 대한 약국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다. 조제약국 자동화 비중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1인 약국까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하고 있다.

 

약국 자동화 시스템 교체주기는 6~7년이며, 사용기간 동안 MRO(Maintenance Repairs & Operating)의 지속적인 매출이 발생해 매출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만 자동화 시스템은 고가의 장비로 경기 변동에 따른 약국 투자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티팜 도입 확장, 해외 저변 확대로 꾸준한 실적 달성중

 

증권가에 따르면 제이브이엠의 인티팜은 국내 상급종합병원 내 구역별 도입 확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인력보완 및 마약류 관리 필요 등으로 중소 병원에서의 신규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1회 소분 파우치 포장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데 자동 조제기 수요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제이브이엠 수혜가 기대되고 있다.

 

지난 2분기 실적은 양호했다. 매출액은 3% 가량 준 371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와 같은 33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22% 증가한 22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2.2%, 순이익률은 8.1%다. 글로벌 약국 자동화 분야 시장 규모가 성장하는 기조 속에서 판관비 감소, 국내 영업부 실적 회복 등이 안정적 실적을 견인했다는 평가다.

 

 

올해 영업이익 159억원 달성 전망.. '22년 추정 PER 12.5배

 

올해 제이브이엠의 추정 매출액은 1209억 원(+4.8% yoy), 영업이익은 159억 원(+1.3%), 순이익은 128억 원(+23%)이다. 영업이익률은 13.2%, 순이익률은 10.6%로 예상된다. 

 

19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019억원이다. 2분기 연환산(최근 4개 분기 합산) 순이익 기준 PER은 23배다. '21년 추정 실적 기준 PER은 15.8배, '22년 기준 PER은 12.5배다. 약품 자동화 시스템 성장성이 유지되고, 매 분기 추정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실적을 낸다면 현재 주가 1만 6700원은 아주 비싼 가격은 아니다.  

 


반응형